기사 메일전송
인쇄, 디지털 뉴딜에 국물 없나 - 디지털 기반 사회 가속화 - 개인 맞춤형 소비 트렌드 - 디지털인쇄인 육성 필수
  • 기사등록 2020-07-27 11:38:08
기사수정





산학연 공조로 결실 내야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비대면) 사회가 일상화됐다. 코로나19 때문에 일부 경제부문에서 추진되어 오던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이 우리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여기에 도시화, 개인화 등으로 개인맞춤형 소비가 확대되면서 디지털 사회가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언택트 경제가 확산되면서 평소 온라인 구매에 익숙지 않던 장년층 등이 신규 소비층으로 유입되면서 온라인 유통량

이 급증하고 있고, 최근 정부가 지역 디지털 화폐로 긴급재난지원금을 제공함에 따라 디지털 화폐 사용량도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기업에서는 재택·원격근무 등이 확대되고, 교육현장에서도 온라인 학습이 이뤄지고 있다. 이런 흐름에 따라 산업 측면에서도 ‘비대면 신산업’ 영역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우리 사회를 오프라인 중심 사회에서 디지털 기반 사회로 빠르게 전환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나서서 디지털 가속화에 힘을 싣고 있다. 한국판 뉴딜의 핵심 전략 ‘디지털 뉴딜’을 실천하겠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우수한 정보통신 기술과 인프라를 활용해 글로벌 디지털경제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한 발 빠른 노력을 시작했다.


포스트코로나를 대응..‘디지털 뉴딜’


정부는 이달 14일 프스트 코로나 대응정책으로 한국판 뉴딜 사업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국고 114조 원을 직접 투자하고, 민간과 지자체까지 포함하여 약 160조 원을 투입하겠다고 했다. 한국판 뉴딜의 두 축은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이다.

한국판 뉴딜의 간판사업이 될 10대 대표사업도 소개했다. ‘데이터 댐’, ‘인공지능 정부’, ‘스마트 의료 인프라’, ‘그린 리모

델링’, ‘그린 에너지’,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그린 스마트 스쿨’, ‘디지털 트윈’, ‘SOC 디지털화’, ‘스마트 그린산단’ 등이다. 곳곳에 디지털이라는 키워드가 보인다. 특히 정부는 우리 사회, 경제, 교육, 산업, 의료 등 전 분야에서 디지털화를 강

력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불확실성이 커지고 경제가 안 좋은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를 할 곳은 정부가 유일하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디지털 뉴딜을 투자의 한 축으로 제시했다. 인쇄 역시 디지털인쇄로 나아가는 계기로 삼을 만 한 시점이다. 디지털인쇄는 디지털인쇄기를  운용하는 것에 더해서 인쇄지형을 디지털인쇄와 스마트인쇄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 인쇄는 전통적인 오프셋 인쇄 방식에 비해 장당 비용이 더 많이 들지만 개인맞춤형 소비가 늘어나면서 향후 나아가 야할 방향으로 관측된다. 주문형 인쇄, 짧은 총처리 시간, 각 인쇄 부수에 쓰이는 이미지(가변 데이터)의 수정 등이 용이하여 앞으로 시장의 흐름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인쇄를 실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즉 인쇄장비와 각종 자재 등과 스프트웨어 시스템(AI,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을 갖췄다고 해도 이를 운용할 수 있는 인력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때문에 디지털시대에 맞는 디지털인쇄인을 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도 디지털 인재육성 추진


다행이도 정부가 ‘한국판 뉴딜’의 인프라로서 에듀테크를 통한 인재 육성을 중요한 과제로 추진하려 하고 있다. 디지털 인

쇄인 양성도 이와 보조를 맞춰야 한다. 특히 인쇄물은 크게는 한 시대를 대변하고 기록을 남기며 문화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작게는 상품의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여 제조업의 기반이 되기에 충분히 명분이 있다. 한국생산성본부 생산성혁신연구소의 보고서에서는 다양한 디지털인재 육성 방법을 제시했다. 그 중 인쇄산업에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요약하면 먼저 산학연이 함께 디지털 인쇄인 양성에 나서야 한다. 예를 들면 기존의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SW 중심대학, AI 특성화 대학 등)을 디지털 원천기술 전반으로 확대하여 전국의 각 대학별로 보다 포괄적으로 교육을 보급해야 한다. 

또한 재직자를 대상으로 기술 수준과 분야별 교육을 지원하고 개인별 기술 역량을 인증해주는 지원도 필요하다. 재직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이 필요하지만 재직회사가 이를 지원할 여력이 되지 않을 때 필요한 제도이다. 특히 인쇄산업은 영세하기에 재직자를 정부교육기관에서 교육하면 더 정책효과가 클 것이다.

마지막은 제조업에 종사하는 기존 재직자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이다. 제조산업 내에서는 디지털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는 내부 인재의 육성이 필요하다. 인쇄산업도 디지털을 주도할 인재들을 자체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인쇄산업에 특화된 맞춤 디지털 교육이 필요하다. 

이 인재들이 각 기업으로 돌아가 현장에서 디지털인쇄를 주도하는 것은 물론, 각 회사 사원들을 대상으로 재교육 등을 통해 내부에서부터 디지털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이 같은 과정은 업체들만 나선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정부의 협력을 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각 협회나 단체 등을 통해서 산업계와 학계 정부가 협력할 때 비로소 결과가 나올 것이다.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korpin.com/news/view.php?idx=1233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사이드배너_06 microsoft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