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장인의 품격 발현 ‘예술 제책’ - 유럽 ‘를리외르’ 장인 프랑스 중심으로 발전 - 새로운 문화 자리 매김 국내도 20여년전 도입 - 공방 등 통해 자리 잡아 애호가 및 고객층 형성
  • 기사등록 2019-12-30 12:01:47
기사수정




“책을 지키고 생각을 지키기 위해 제본을 한다. 그게 전부다. 나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즐길 뿐이다"

지난 11월 5일 방송된 JTBC '장동건의 백 투 더 북스'에서는 파리의 다채로운 독립서점이 그려졌다. 또한 방송 말미에는 8대째 제본소를 이어오고 있는 ‘제본 장인’ 질 바르넷의 모습도 그려졌다. 

그는 “제본할 때 사용하는 연장과 기술 모두 증조할아버지부터 이어온 것”이라며 “어느 도구 하나 새로 산 것이 없고 모두 16, 17세기 때부터 써온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시대, 전자책이 유행하는 세상이다. 하지만 종이 책을 아름답고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고쳐주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이 바로 를리외르, 예술제본가들이다. 

예술제본은 본래 유럽식 제책을 뜻하는 것으로, 이미 인쇄된 책이나 낱장의 그림 등을 다시 분해해 제책함으로써 표지 장정을 새롭게 하는 작업이다. 

예술제본은 사람 눈에 보기 좋기보다, 책이 오랫동안 건강하게 제 기능을 다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책이 상하지 않기 위해서는 책 몸통 구석구석에 높낮이가 다른 ‘턱’이 없어야 한다. 뾰족한 모서리가 있어서도 안 된다. 

책을 펴거나 덮을 때 책등과 배 사이에 홈이 생겨도 책은 금방 너덜너덜해진다. 

턱, 모서리, 홈이 없는 책을 제책하기 위한 방법은 단 하나. 사람의 손으로 가죽을 저미고, 사포를 문지르고, 바느질을 하고, 적당한 힘으로 망치를 내리치는 수밖에 없다.

예술제본의 본격적인 출발은 중세 수도원에서 신과 성인에게 바치는 책을 튼튼하고 화려하게 엮어내면서부터였고, 르네상스 시대엔 왕립 도서관 소속의 제본가들에 의해 프랑스를 중심으로 주변 나라들에서 발전해왔다. 

지금은 책의 새로운 문화로써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확산되고 있지만, 그 바탕에는 주로 왕이나 귀족, 성직자들을 위한 상류 고급문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프랑스의 경우 1, 000여명의 예술제본가들은 아틀리에를 운영하거나, 프랑스 전역에 산재해 있는 도서관들의 책을 복원하거나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전통제본의 형식을 지키며 완벽한 기술을 요하는 장인의 발굴에 힘을 써 오다가 1990년대 초부터 예술제본이 더이상 특정한 이들을 위한 소유물이기를 거부하며 대중화 작업에 힘쓰고 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도 40년도 더 전에 예술제책 작업이 시작되어, 활성화가 되었다. 일본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예술제본 역사는 불과 20여년 남짓 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짧은 역사에 비해 발전 속도는 빠르다. 

예술제본 불모지였던 한국이 불과 몇 년 사이에 새로운 문화 정착의 알찬 유년기를 지나, 더 성숙한 제책문화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 예술제본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이 있다는 말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예술제본과 관련된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높은 단가 때문에 대중화되기 쉽지 않은 어려움도 있지만, 현재 일부 애서가들과 출판사를 중심으로 두터운 고객층이 형성되어 있다. 

출판사에서 작가들에게 소장본으로 선물하거나, 일반인들이 개인적인 소장이나 선물용으로 주문하는 경우를 포함해 취업을 위한 포트폴리오 작업이 실용성이 있는 만큼, 그에 대한 가장 많은 문의가 들어오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포트폴리오와 소중한 고서 복원, 일기장과 스케치북등을 한 권의 책으로 재 장정 하는 등 제본기술과 함께 질 높은 작품을 소장하기 위한 문화와 함께 꾸준한 발전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렉또베르쏘(Recto Verso)’와 같은 공방을 통해 제작되거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렉또베르쏘는 책의 앞장과 뒷장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1999년 파리예술제본학교에서 유학하고 온 고(故) 백순덕씨가 최초로 문을 연 예술제본 전문공방으로, 2008년 선생이 작고한 뒤에 현재는 제자들이 명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서울과 대전, 분당에서 운영되고 있다. 

렉또베르쏘에서는 정통 유럽식 고전제본부터 현대적인 제본에 이르기까지 책의 구조와 형태, 책을 이루는 여러 물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와 실제가 진행되고 있다.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korpin.com/news/view.php?idx=1200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