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출판 총수는 늘고 부수는 감소···소량 다종 변화 - 출판문화협회, 출판통계 발표 - 지난해 6만 4306종 출간으로 증가
  • 기사등록 2025-06-20 15:30:30
기사수정

▲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지난 5일 발표한 출판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도서 출간 종수는 꾸준히 증가한 반면, 출간부수는 감소하며 출판양상이 `소량 다종`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판산업이 '소량 다종'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도서출간 종수는 꾸준히 증가한 반면, 출간부수는 감소하며 출판양상이 '소량 다종'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책의 소비수명이 짧아지고, 상대적으로 출간이 쉬워진 점이 이러한 변화를 이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출판사 8만 1161곳...출판부수는 감소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지난 5일 발표한 출판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간된 책은 총 6만 4306종으로, 2023년(6만 2865종)보다 1441종, 2022년(6만 1181종)보다 3125종 늘었다. 2014년(4만 7589종)과 비교하면 약35% 증가한 수치다. 등록된 출판사수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종수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실제 영업활동을 하는 출판사는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출협인쇄사 검색시스템에 등록된 출판사는 8만 1161곳으로, 2023년(7만 9035곳)보다 2126곳, 2022년(7만 1319곳) 보다 9842곳 늘었다. 2014년(4만7226곳)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많아졌다. 그러나 이중 실제로 책을 출간해 출협에 납본한 출판사는 2022년 8975곳, 2023년 7878곳, 2024년에는 5911곳으로 해마다 줄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등록만 해놓고 영업을 하지 않는 1인 출판사 등 통계에 허수가 상당히 포함돼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출판부수는 지속적인 감소세다. 2005년 이후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2024년에는 한강작가의 노벨문학상 수 상 여파로 일시적인 반등이 있었을 뿐이다. 최근 10년간 연간 800만부가까이 줄어든 해도 있었다. 출판부수는 2022년약 7900만부에서 2023년 7000만부로 줄었고, 2024년에는 7200만부 수준을 기록했다.


신간 수명 짧아 초판수량 줄어 들어


출간 종수가 늘어난 배경에는 신간의 수명이 짧아졌다는 점이 있다. 과거에는 책을 출간하면 수 개월간 꾸준한 수요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그 주기가 급격히 짧아졌다는 것이다. 한 출판 관계자는 "예전에는 책을 내면 6개월 정도는 수요가 유지됐지만, 지금은 3개월도 안 고 몇 주 만에 수요가 끝나버리는 경우가 많다"며 "이 때문에 초판수량을 줄이고, 더 많은 책을 내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출간이 상대적으로 쉬워지면서 책 출간을 일종의 '명함'처럼 여기는 경향도 영향을 미쳤다. 콘텐츠의 무게감보다는 출간 자체에 의미를 두는 사례가 늘어난 것이다.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korpin.com/news/view.php?idx=1553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사이드배너_06 microsoft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