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바이든 정부와 유럽 연합(EU)이 주도했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과 순환 경제가 트럼프 정부 2기 정책으로 인해 잠시 주춤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그동안 UN 기후변화협약(UN FCCC)에서 파리 협정 재탈퇴 결정, 국제 기후 재정 계획 및 UN 기후변화협약 관련 재정 지원 중단 또는 철회, 온실가스 보고 의무 및 차량 배출 규제 완화, 미국 내 화석 연료 채굴 확대 및 석탄 화력 발전소에 대한 환경 규제 2년 유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동을 걸고 있다.
이런 급변하는 분위기에 편승해 EU도 지난 2월 말 집행위원회가 발표한 옴니버스 단순화 패키지를 통해 기업 지속 가능성 공시 지침과 공급망 실사 지침의 적용 대상을 축소하거나 시행을 유예하는 등 기업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완화 조치를 취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정부가 추진했던 일부 정책들이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그동안 지속 가능한 경제에 보조를 맞추면서 다양한 기술 개발을 하고 친환경 제품에 주력했던 국내 기업들도 혼선이 불가피해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친환경은 대세로 자리매김하면서 새로운 비전이 되고 있다. 특히 포장재의 경우는 친환경 포장재의 속속 개발과 탈플라스틱 정책이 맞물리며 지구촌 곳곳에서 속도전을 내고 있다.
플라스틱 규제는 대세
플라스틱 규제 강화는 필수가 됐다. 각국이 플라스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캐나다의 경우는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를 시행하여 일회용 비닐봉지부터 식기류, 음식 포장 용기 등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수입이나 제조를 금지하기도 했으나 캐나다 연방 법원이 반헌법적이라는 판결을 내리기도 했다고 코트라가 전했다.
하지만 법원의 판결과 달리 이미 많은 식료품 업계에서는 일회용 포장 봉투를 더 이상 제공하지 않으며 식음료 업계에서도 일회용 빨대를 제공하지 않는 등 다양한 산업에서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캐나다에 수입 및 유통되는 플라스틱에 대해 연방 플라스틱 등록소에 신고를 의무화하는 정책도 지난해에 발표했다. 의무화 정책에 속하는 주요 제품으로 플라스틱 포장재, 일회용 제품 등이 포함됐다. 이러한 규제는 기업들이 플라스틱 포장재를 지속 가능한 친환경 제품으로 전환하도록 촉진하고 있다.
기업들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재활용 재료 및 생분해성 재료를 사용한 포장재를 생산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쟁 중인 러시아 역시 친환경 포장재를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오는 9월 1일부터 3가지 유형의 PET 포장재 사용을 금지하고, 박스와 포장 봉투 등에 재활용 소재 사용을 의무화할 계획이라고 코트라가 전했다.
또한, 2030년까지 추가로 20여 종의 포장재 사용이 금지된다. 규제 강화와 더불어 러시아 정부는 친환경 포장재 생산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26일에 발효된 정부령 제1901호에 의거, 재활용 원료를 사용한 포장재나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은 환경분담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플라스틱 대체할 종이포장재
이처럼 플라스틱 포장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 이를 대체할 종이 포장재 개발이 속도를 내고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 저감과 재활용 강화를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정책을 추진하면 종이 포장 시장이 확대되는 것이다. 소비재와 산업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종이 포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예를 들면 식음료 및 생활용품 유통 과정에서 친환경 포장재와 종이 포장재 도입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제지 기업과 유통 기업이 협업을 하여 친환경 포장재와 종이 포장재를 생산해 유통 제품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식음료를 넘어 제약, 전자 제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방습과 단열 기능을 갖춘 고기능성 종이 포장재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해 맞춤형으로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대형 유통사들도 ESG 경영 강화와 맞물려 종이 포장재 도입을 확대하고 있어, 전반적인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이처럼 친환경 포장재는 순환 경제를 주도하고 환경을 지키면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