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0-05-12 00:00:00
기사수정


콘텐츠 유통·출판사 저작권료 등 해결과제 많아

국내 전자책 산업이 활성화되려면 콘텐츠 산업이 활성화 돼야 한다.
국내 유통되는 전자책은 중복 콘텐츠를 제외하면 5~6만종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최신 베스트셀러는 찾아볼 수 없다. 대부분 출간된 지 일정기간이 지난 비인기 콘텐츠들이다. 유통불안과 수익감소 우려 등의 이유로 저자 및 출판사가 종이책의 디지털화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은 아마존이든 (애플)아이북스든 올라오는 콘텐츠를 보면 모두 신간이다. 우리나라는 콘텐츠가 없으니 단말기도 경쟁력이 떨어지는 셈이다.
업계에서는 국내 총 판매된 전자책 단말기 대수가 1만대를 약간 넘어서는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통구조가 체계적으로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출판업계가 인기 콘텐츠를 아무런 장치 없이 유통업계로 넘길 수는 없다는 입장이었다.
현재 전자책 시장은 콘텐츠 유통을 단말기 사업자와 이동통신사, 유통사업자 중심으로 형성 되어 있다. 출판사들은 저작권료의 정산 및 배분, 2차 저작물 등의 권리관계에 대한 기준이 없다는 점을 들어 관련 법률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자책 산업 모델도 종이책과 같아야 하며 역할에 혼돈이 일어나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면 안 된다는 주장도 있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제작은 출판사가, 유통은 유통사가 해야만 전자책 산업이 발전할 수 있으며 콘텐츠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밝힌 2014년까지 600억원을 투입하는 ‘전자출판산업 육성방안’도 2012년 이후에나 운영될 수 있을 전망이므로 당장 볼 만한 책이 마땅치 않다는 문제는 여전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출판콘텐츠협회에서는 현재 출고가를 정해 종이책을 전자책으로 변환한 파일을 넘기면 유통업체는 자율적으로 가격을 결정해 소비자에게 판매한다는 내용으로 의견 조율을 거의 끝낸 상태며 200여개 출판사 3000종의 신간(베스트셀러 포함) 콘텐츠를 5월 12일부터 일부 유통업체게 공급하게 될 것으로 밝히고 있다.
외국 번역 서적을 전자책 단말기로 보려면 다소 시간이 걸릴 듯하다. 전자책 콘텐츠로 유통할 수 있다는 2차 저작권에 대한 계약 문제가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베스트셀러 가운데 50% 이상이 번역 서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전자책 시장 활성화를 위해 이 문제는 꼭 해결해야 한다는 업계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korpin.com/news/view.php?idx=618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사이드배너_06 microsoft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