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5-04-15 00:00:00
기사수정





지난 2011년 MB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스마트 교육이 갈수록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는 견해들이 전자출판 업계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전자교과서 즉 디지털교과서를 통한 스마트 교육은 국내 전자책 산업의 뒷걸음질 현상으로 활성화와는 거리가 먼 형태로 시간만 흘러가고 있는 형극이다.


2011년 MB정부는 “오는 2015년까지 초·중·고교에 디지털교과서를 전면 도입하도록 하겠다”고 야심차게 발표했지만 현재까지 이들 교과서는 일부 시범학교에만 도입됐을 뿐 나머지 학교들에게 전자교과서는 아직까지 요원할 뿐이다.


특히 이와 관련한 예산도 갈수록 줄었다는 것이 업계의 한탄이다. 지난 2013년 250억 원, 2014년 190억 원에 이어 올해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는 분위기다.


디지털교과서 도입정책이 당초의 취지를 이어가지 못하고 무색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전반적인 전자책 서비스 시장도 악화 일로다. 전자책 초기 시장에서 공공 부문이 중요한 매출 창구가 돼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요인이 크다.


때문에 국내 기업들은 최근 잇따라 전자책 사업을 접고 있다. 특히 전자책의 미래를 확신하지 못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해당 사업에서 발을 뺐다. 대표적인 사례가 삼성전자와 KT 등이다.


이 가운데 KT미디어허브는 전자책 서비스를 중단과 함께 기존 사업권을 중소업체에 이관했으나, 이 과정에서 일부 소비자에 제대로 전자책이 전달되지 않아 항의가 빗발치는 등 곤욕을 겪었다.


전자책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IT강국, ICT 환경이 발달한 나라에서 장점으로 부각돼야 할 디지털교과서 사업의 지지부진을 그대로 둘 경우 관련 기술력과 시장은 해외로 빠져나가게 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하루라도 빨리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korpin.com/news/view.php?idx=635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사이드배너_06 microsoft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